샘플 렌더링
여기에서는 다양한 GI 방식의 조합으로 여러가지 샘플 렌더링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 씬은 GI 포탈이 설정된 두 창문을 통해 스카이가 들어와 비추고 뒷 벽에서는 CINEMA 4D 스포트 라이트가 비춥니다. 나머지 차이는 GI 방식만으로, 남은 설정은 평균적인 품질 설정을 반영합니다. 어떤 렌더링의 경우에는 얼룩이 생기는데, 이런 경우에는 설정값을 높게 해서 개선할 수 있습니다.
렌더링 시간은 단순한 지표이며, 씬마다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의해주세요.(IC+LM과 QMC+LM에서 래디오시티 맵 생성을 활성화하면 렌더링 시간이 또한 아주많이 줄어듭니다.) QMC+QMC에서는 렌더링 시간을 100%로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 |
![]() |
![]() |
![]() |
방식들을 비교하고 다음을 주의하세요:
- 비슷한 결과를 얻고 싶을 때 (!차 방식으로) 간소화된 이래디언스 캐쉬는 QMC와 비교해서 어느정도 빠른가.
- 라이트 맵을 사용하면 많은 빛 반사에 의해 내부 공간이 비교적 밝게 렌더링되는 한편...
- … 나머지 2차 방식은 최대 8개의 반사가 가능해서 렌더링 시간이 길어져도 어두운 결과가 됩니다.
- 1차 방식으로 QMC에서 얻을 수 있는 정확한 그림자.
- 얼마나 IC+QMC가 플리커 현상이 생기기 쉬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