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레오스코픽
각 뷰포트에서 개별적으로 스테레오스코픽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스테레오스코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스테레오스코픽 뷰 사용 또는 해제합니다. 이 옵션은 각각의 뷰의 옵션 메뉴의 스테레오스코픽 옵션과 일치합니다. 즉, 사용 또는 해제를 여기에서 가능합니다.
사용하면, 렌더 설정의 스테레오스코픽 메뉴의 값이 적용됩니다.
스테레오스코피가 없는 일반 뷰 모드.
이것은 가장 잘 알려진 프로시져로, 50년대부터 극장에서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미지의 컬러 정보를 2-컬러 안경을 사용해서 분리합니다. (이전에는 적-녹, 요즘에는 대부분 적-청록). 장점: 간단하고, 저렴한 안경. 단점: 컬러 범위가 아주 제한적인 부분입니다.
이 방법은 편광 필터가 장착된 모니터와 편광 안경을 요구합니다. 두 개의 이미지가 하나의 이미지로 코딩되어 합성되기 때문에 해상도가 반으로 줄어듭니다 (가령 왼쪽눈에는 짝수번째, 오른쪽눈에는 홀수번째 라인이 들어옴). 장점: 부담되지 않는 안경 가격, 색감이 좋음. 단점: 특별한 모니터가 요구되며 해상도 감소.
가장 고품질의 프로시져는 모니터와 동기화되는 특별한 안경을 사용하는 것인데, 이는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가 좌안과 우안으로 번갈아 가며 출력되는 것입니다. 장점: 최고품질, 트루컬러. 단점: 고가 (특별한 하드웨어 필요, 모니터 출력 120 Hz가 되어야 함)
좌우 이미지가 스위칭되고 일반적인 이미지 크기로 합쳐집니다. 몇몇 HD 3D 텔레비전에 이 기술이 적용되었는데 전송 대역이 HD 대역과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터미널 디바이스가 이러한 이중 이미지를 디코딩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 셔터 글래스와 조합을 이룹니다). 단점: 해상도 감소, 비싼 가격 (특별한 하드웨어 요구)
활성화된 경우, 분할된 좌우 영상이 전환됩니다.
픽셀로 정의된 값으로 나눠진 이미지를 이동 시킵니다. 이것은 스테레오스코픽 효과를 증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스테레오스코픽 컬러 코딩의 컬러는 Anaglyph 모드일 경우에만 정의됩니다. 두가지 컬러 모두 여러분이 사용하는 3D 애너글리프 안경의 렌즈와 동일하여야 합니다. 만약 여러분의 클라이언트가 컬러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적-시안을 사용하십시오. 이것이 가장 흔히 사용되는 컬러 조합이며 적-녹 또는 적-청 컬러 조합에 비해 많은 컬러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옵션을 이용하여 여러분 스스로가 컬러 조합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안경의 매칭되는 짝을 찾는 것이 쉽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방법이 전체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왼쪽눈 컬러만 정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른쪽눈 컬러는 자동으로 왼쪽눈의 보색으로 설정될 것입니다.
이 곳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컬러 코딩에 대한 개별 컬러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은 사용자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좌측 컬러는 안경의 좌측 렌즈 컬러와 동일하여야 합니다.

이 설정의 옵션을 이용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의 컬러에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애너글리프 기술의 문제점은 원본 씬에서 컬러가 변질된다는 것입니다. 몇몇 컬러들은 뷰어 눈에 긴장을 주고 봐야만 볼 수도 있습니다 (적-시안 코딩을 사용할 경우 적색). 이는 최소 고생스러운 "시청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에 최적화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적-청이나 적-녹은 방법이 전체로 설정된 경우 사용되어야 합니다.
다음 항목은 애너글리프 이미지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퀄리티에 따라 밀접하게 정렬됩니다. 항목은 최악에서 최선으로 정렬됩니다:
디스플레이가 어둡고 모노톤이라는 사실로 인해 애너글리프 디스플레이는 가장 구식(가장 낮은 퀄리티) 방법입니다. 이 모드는 적-청이나 적-녹 애너글리프 기술을 위해 설계 되었습니다.
애너글리프 이미지는 안경을 통해 회색 이미지로 나타날 것입니다(적-청이나 적-녹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지 않았습니다). 보다 밝은 이미지를 위해서는 전체를 사용하십시오.
이 모드들은 이전에 설명한 옵션과 비교했을 때 제한된 컬러 재사용만을 허용합니다. 청, 녹, 황 톤은 공통 적-시아 코드가 적용될 때 매우 잘 재사용될 수 있습니다. 만약 컬러가 선택될 경우, "망막의 경쟁자”가 발생할 수 있는데, 가령 적색 표면(적-시안)이 좌안으로 하여금 최대 컬러 강도를 뇌에 전달하도록 하고 우안 "흑색”만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눈에 신경이 거슬립니다 (위의 이미지에서 적색 꽃병에서 관찰될 수 있습니다.) 이 효과는 중간 컬러를 선택하여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적색은 더 이상 이런 식으로 인식되지 않는 정도로 어두워질 것입니다.
이 모드는 중간 컬러 모드와 유사하지만 더 나은 컬러 재생을 제공하고 망막의 경쟁 효과를 최소화합니다(위를 보십시오).
이 모드는 양측 이미지 파트가 서로 정렬되어야 할지를 정의합니다 (수평 또는 수직).
만약 모드가 Side-by-Side로 설정된다면 X나 Y축을 따라 반으로 분할된 이미지를 미러링하는 옵션이 주어집니다.
만약 모드가 Interlaced로 설정된 경우, 코딩이 옵셋 라인 (수평 또는 컬럼(수직))을 통해 발생할 지 여부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체커보드라 불리우는 두 가지 모드를 추가적으로 조합한 것이 있습니다.
수많은 채널을 위한 렌더 설정을 조절하면 주어진 뷰에 표시되는 채널을 지정하는데 이 설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