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 CINEMA 4D Prime, Visualize, Broadcast, Studio & BodyPaint 3D
글로벌 일루미네이션
세상은 끊임 없이 기술이 발전하고 있어 컴퓨터 그래픽(빠른 컴퓨터, 진보된 알고리즘 등)은 점점 더 쉽게 사실적인 렌더링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사실적인 렌더링된 이미지를 위한 주요한 요점은 씬 내에서 자연광을 분산시키는 것입니다. 이것을 위한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매우 숙련된 3D 아티스트는 정직한 방식으로 광원을 다량 배치하여 사실적인 빛의 분산 결과를 이끌어 냅니다. 장점: 짧은 렌더 타임을 가집니다. 단점: 만족스러운 결과를 위해 매우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합니다.
- 실제 세계에서는 광원은 자기가 있어야 할 정확한 위치에 있습니다. 글로벌 일루미네이션(GI)은 빛을 사실적으로 분산시킵니다. 장점: 라이트의 분산은 실제 세계와 부합하며 경험이 부족한 초보자도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점: 비교적 많은 렌더 타임을 필요로 합니다.
그럼 GI는 무엇일까요?
왼쪽: GI를 사용하지 않고 에어리어 라이트로 렌더링된 씬. 오른쪽: GI를 사용하여 렌더링된 씬. 뒤의 벽과 만나는 벽 부분에서 컬러로 물든 컬러 블리딩과 라이트의 분산의 조화를 주목하십시오. 라이트의 추가적인 반사는 GI 씬을 더 밝게 만들고 완전히 검은 지역이 거의 없어지도록 만듭니다. (씬: © Holger Schömann)
GI는 씬 내에서 다른 오브젝트간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빛의 상호 작용입니다. 간단히 말해 실제 세계에서 빛은 물체를 만나면 반사가 발생합니다. 기본 라이트들은 빛이 도달하지 않는 지역(예, 구석)은 조명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예제 이미지에서 위를 보면 GI를 사용하지 않고 씬을 렌더링하여, 어떤 라이트 광원도 닿지 않아 어두운 곳이 많은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것이 더 좋은 결과를 위해 GI가 무엇을 하는가입니다. 말은 간단하지만 실제로 프로세스는 굉장히 복잡합니다: GI를 사용하지 않는 전통적인 라이팅을 사용하여 렌더링할 때, 빛은 제한된 광원(라이트 스스로)의 개수에서만 방출합니다. GI를 적용하면 오브젝트의 어디든 더욱 멋지게 보이도록 라이트가 반사됩니다.
GI 관련 설정은 어디에 있나요?
GI 파라미터는 Cinema 4D 내에서 다음과 같은 위치에 있습니다:
GI를 사용하기 위해 해야 할 것:
- 렌더 편집 설정 대화 상자를 엽니다(메인 메뉴: 렌더 설정 또는 단축키 Ctrl+B)
- 이펙트... 버튼을 클릭하고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을 선택합니다.
- GI 설정에서 프리셋 메뉴에서 프로젝션 타입을 위해 프리셋을 선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