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nema 4D Cinema 4D 기본 기능들 렌더 메뉴 렌더 설정 저장
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 CINEMA 4D Prime, Visualize, Broadcast, Studio & BodyPaint 3D

변수 경로와 파일 명 ("토큰")

변수 경로와 파일 명 (토큰)은 렌더링을 저장할 때 다음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렌더 설정의 저장 탭의 파일 인풋 필드에서 각각의 노말 또는 멀티-패스 이미지들을 위해서

렌더 매니저의 출력 경로

-oimage-omultipass 커맨드의 커맨드 라인에서

토크은 어떨 때 사용될까요? 토큰은 경로와 파일명에서 사용되는 간단한 텍스트 변수입니다. 렌더링되거나 픽쳐 뷰어에서 표시될 때 프로젝트 명, 현재 사용되는 카메라, 테이크 등과 같은 프로젝트 속성들이 교체됩니다.

예제

다음 예제는 토큰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보여줍니다:

위 이미지에서 파일 경로를 참고하세요: Results/$take/$rs. 변수 $take$rs (모든 토큰 목록은 아래에서 볼 수 있습니다.)은 토큰입니다. 파일 경로의 마지막 토큰(여기에서 $rs는 렌더 설정 이름)은 항상 파일 명이고 선행하는 토큰들은(이 예제에서 $take는 테이크 이름) 디렉토리 이름을 나타냅니다. 이들은 사전에 존재하는 디렉토리일 필요가 없습니다! 이미 존재하지 않을 경우 Cinema 4D는 만들게 됩니다.

위 이미지의 오른쪽 면에서, 속성 매니저창에서 표시된 12개의 테이크들은 다양한 이름과 서로 다른 렌더 설정을 가집니다. (왼쪽에 (낮은 해상도, 일반 해상도, 높은 해상도로 표시됩니다.) 12개 테이크 모두가 렌더링될 경우, 각 디렉토리 명($take)은 테이크 이름으로 교체됩니다. (예: Analog) 그리고 렌더링된 이미지는 그 위치에 저장됩니다. 이미지의 파일 명($rs) 또한 각각의 렌더 설정의 이름으로 교체됩니다.

토큰

다음 토큰들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j: 프로젝트 파일 이름

$camera: 현재 카메라 이름

$take: 현재 테이크 이름

$pass: 멀티 패스 또는 오브젝트 채널 이름 (정의된 멀티 패스 이름). 우선적으로 디렉토리 이름이 사용됩니다.

$userpass: 멀티-패스 또는 오브젝트 채널 이름 (렌더 설정에서 더블클릭으로 멀티-패스는 이름변경됩니다. (멀티-패스 트리 뷰 열림) 우선적으로 디렉토리 이름으로 사용됩니다 ( 접미사로 채널 이름 옵션이 내부적으로 해제됩니다).

$frame: 현재 애니메이션 프레임

$rs: 현재 렌더 설정 이름

$res: 이미지 해상도 (e.g., 800*600: 800X600)

$range: 애니메이션 범위 (예: 23프레임부터 76까지; 23_76)

$fps: 프레임 레이트

이 토큰들은, 다른 종류의 문자들과의 조합으로도 사용될 수가 있는데(예: Camera_$cameraXY1), 복잡한 디렉토리 구조를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테이크 기능과 함께(테이크 매니저를 참조), 렌더링할 수 있는 지점에서 다양한 프로젝트 상태들을 만들고, '프로시쥬얼' 파일과 경로 명이 생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파일 명에 따라 디렉토리 이름이 생성됩니다. 재 렌더링된 후에 기존의 경로/파일들을 덮어쓰지 않고, 복잡한 프로젝트들과 함께 동작할 때 편리한 기능입니다.(물론 토큰 시스템 역시 멀티-패스와 함꼐 동작합니다.)

멀티-패스 파일 명은 이미 각자의 이름을 포함하고, 이는 $pass 또는 $userpass과 같이 수많은 겉으로는 불필요한 토큰들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이것들은 또한 디렉토리 이름에 사용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