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트릭스 오브젝트
매트릭스 오브젝트는 클로너 오브젝트와 거의 비슷합니다. 공통되는 기능에 관해서는 클로너 오브젝트의 설명을 참조하십시오.
매트릭스 오브젝트는 2개의 주된 기능이 있습니다:
매트릭스 오브젝트는 직교 행렬(매트릭스)을 생성하기 때문에 클로너 오브젝트에 의해 생성되는 클론과는 조금 다릅니다. 또 이것에 의해 CINEMA 4D의 디포머(예:구부리기, 조인트 등)이 매트릭스 오브젝트에서 최적화된 효과를 나타내게 됩니다(아래와 같이 참조).
매트릭스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씽킹 파티클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매트릭스와 파티클이 각종 이펙터에 의해 똑같이 영향을 받도록 할 수가 있다는 걸 의미하고 있습니다.
아래 예제는 클로너 오브젝트의 옵션과는 다른 매트릭스 오브젝트의 옵션이 설명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설정은 생성 옵션에 있습니다.
예제:

그럼 이 설정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매트릭스 오브젝트를 생성해서 생성을 씽킹 파티클로 설정합니다. 그리고 랜덤 이펙터를 추가합니다(랜덤 이펙터의 감쇠를 직선으로 설정합니다). 추종을 100%을, 제한을 0%로 설정합니다. (매트릭스 오브젝트 설정; 또한 파티클 우선순위를 이펙터 이후로 설정) 그리고 이펙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이것이 각 클론의 배열을 통과하도록 설정해 애니메이션을 만들어주세요.
XPresso 태그를 생성해서 P 전달, P 중력, 그리고 2개의 P 디플렉터 노드를 만들어주세요. 그리고 P 전달 노드의 출력 포트를 그 외의 각각의 입력 포트에 접속해 거기에 따라서 각 설정을 변경합니다(디플렉터 타입: 오브젝트를 각 디플렉터 노드에 연결해 바운스를 예를 들면 30%로 지정해 보십시오).
이상입니다. 이것으로 모그라프와 씽킹 파티클 양쪽 모두에 대해서 각 클론이 반응하게 됩니다. 애니메이션 과정에서 만약 제한의 값을 움직여 보면 씽킹 파티클들이 가지고 있지 않던 클론의 위치에 대한 방향으로 각 클론이 움직이는 모습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씽킹 파티클의 효과의 강도를 조절할 때도 이 설정을 이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