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그라프 캐쉬
캐쉬 태그는 오브젝트 매니저의 태그/MoGraph 태그/모그라프 캐쉬 태그에 있습니다. 이 캐쉬 태그는 적용된 모든 이펙터를 고려하여 각 클론의 움직임을 베이크합니다(이 태그는 다음의 각 오브젝트에만 할당할 수 있습니다.):
캐쉬 태그는 계층구조에서 제일 상위의 클론-발생 오브젝트에 할당되어야 합니다;

각 오브젝트가 베이크될 때 위치, 회전, 크기의 정보가 내부적으로 보존되기 때문에 그 계산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습니다. 또 그 성질상, 파일 사이즈가 이에따라 증가하게 됩니다. 파일 사이즈의 증가는 사용 메모리로 옮겨질 수 있으며 MB로 표시됩니다.
다음과 같은 예에서는 모그라프 애니메이션을 베이크해야 할 겁니다:
Team Render를 사용해 렌더링을 할 때.
모인스턴스 오브젝트의 효과를 디스플레이하고 싶은 경우. 혹은 장면을 열 때 그것들이 보이는 상태이고 싶은 경우.
딜레이 이펙터를 사용할 때.
모그라프에 대해 싱킹 파티클을 사용할 때.
대량의 오브젝트가 렌더링되어 에디터 뷰가 너무 무거울 때.
애니메이션이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는다고 느낄 때.
캐쉬 태그의 다양한 다른 상태를 간단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그것들은 다음과 같은 각 색으로 표시됩니다:

회색은 새로 작성된 것이며, 빈 태그 또는 해제된 태그입니다.
녹색은 기본적으로 현재 캐쉬가 존재하거나 사용중인 캐쉬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빨강은 기본적으로 현재 사용중인 캐쉬는 없고 실시간으로 계산 중임을 의미합니다.(예. 현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 프레임 소거 역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화살표 포함: 캐쉬가 데이터 저장 매체로부터 스트리밍되어 있습니다.
화살표 없음: 이것은 내부 캐쉬이며, 완전히 메모리에 로드되어 있습니다.
여러개의 모그라프 태그가 모다이나믹스와 연동하여 사용되었을 때 베이크할 수 있습니다(만약 있다면). 그러려면 모든 모그라프 캐쉬 태그를 선택하고 베이크를 클릭합니다.
Cinema 4D R18에서, 다수의 모그라프 캐쉬 태그들이 혼합될 수 있고, 클론 생성 오브젝트에 지정될 수 있습니다( 강도를 참조하세요).
베이크 중 ESC 키를 누르면 언제라도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
베이크된 모그라프 캐쉬 태그는 다른 클론-발생 오브젝트상으로 복사 또는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이것은 만약 여러분이 빠르게 이펙터의 효과를 게산하거나 모다이나믹스 시물레이션을 오브젝트(예. 간단한 큐브) 대신으로 사용하길 원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이것은 베이크된 태그를 비슷한 다른 클론-발생 오브젝트에 그냥 할당하여도 하이 폴리곤 오브젝트에 적용되어 렌더링됩니다.
아래 예제에서 왼쪽은 큐브를 사용한 시물레이션을 베이크한 것이며 그 결과인 모그라프 캐쉬 태그를, 복잡한 오브젝트를 가진 비슷한 클로너 오브젝트에 할당시켰습니다:

물론 결과는 단지 큐브들 끼리의 충돌이라서 100% 정확하진 않지만 이 정도의 정확성 레벨이면 충분히 목적에 적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