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Render 머쉰
Team Render 머쉰
이 명령을 선택하면 로컬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든 컴퓨터들이 리스트로 표시되는 창이 열립니다. (환경설정 메뉴에서 Team Render 사용 옵션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작업

항상 표시되는 검색 바는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필터 표시입니다.(인증 표시되지 않은 render client도 렌더링됩니다!) 대소문자에 관계없이 입력한 문자를 부분적으로 가지는 이름 및 설명과 함께 각 render client가 표시됩니다. X 버튼을 클릭하면 입력한 문자가 삭제되고 모든 항목이 표시됩니다.
왼쪽 열에는 활성화할 수 있는 옵션이 표시됩니다. 여기에서는 리스트에서 어떤 컴퓨터를 Team Render에서 사용할 지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열에서는 현재 또는 이전에 네트워크에 위치한 모든 컴퓨터가 각각에 해당하는 이름 및 정보와 함께 표시됩니다.(Team Render 문제 해결을 참조하세요.)
리스트에서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명령은 머쉰 메뉴에서 선택하면 선택한 컴퓨터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컴퓨터를 마우스 우클릭 하면 명령을 선택할 수 있는 컨텍스트 메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 모드에서 컴퓨터들의 새 IP 주소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인증되지 않은 컴퓨터들의 보안토큰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다음 아이콘들은 컴퓨터 이름의 왼쪽에서 볼 수 있습니다:

-
렌더 클라이언트: 외부 (네트워크) 컴퓨터들
- 로컬 머쉰: 현재 컴퓨터. 이 컴퓨터 역시 언제든지 render client로써 사용될 수 있습니다.(마우스 우클릭해서 컨텍스트 메뉴를 열어서 환경설정 메뉴의 Team Render 설정을 열 수 있습니다.)
이 아이콘들은 다음 도트 컬러로 표시됩니다:
- 녹색: Team Render를 사용해서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 노랑전체: 현재 Team Render를 사용해서 렌더링 중이고(다음 렌더링 작업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현재 컴퓨터 = server; 빈 상태: 현재 외부 server에서 사용중입니다.
- 회색: 회색
- 빨간 점: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렌더 클라이언트(자세한 내용은 콘솔 참조하세요)가 현재 컴퓨터에 연결될 수 없습니다.
아이콘의 오른쪽에는 현재 또는 이전에 네트워크에 놓인 모든 컴퓨터가 각각에 해당하는 이름 및 정보와 함께 표시됩니다.(하드웨어 상태)
렌더링에 사용되는 컴퓨터에서 render client 상태 표시가 상태바의 왼쪽 아래에 표시됩니다.

컬러 도트는 다음을 나타냅니다:
- 녹색: Team Render가 활성화되었습니다. 사용자 컴퓨터에서 네트워크 컴퓨터로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 노랑전체: 현재 컴퓨터가 네트워크 컴퓨터(또는 사용자 컴퓨터)에 의해서 Team Render로 사용중이고, 현재 컴퓨터=server입니다. 빈 상태: 외부 server에서 사용중입니다. 노란 도트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컴퓨터 (server) 이름이 표시됩니다.
- 회색: 현재 컴퓨터가 외부 컴퓨터에서 Team Redner에는 사용할 수 없지만 그 자체는 외부 컴퓨터를 Team Render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도트는 또한 내부 Team Render 에러가 발생할 경우 회색으로 표시됩니다. 회색 도트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에러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 도트 없음: 환경설정 메뉴에서 Team Render가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렌더러/Team Render 탭).
메뉴
머쉰
이 명령(또는 Team Render 머쉰 창의 빈 영역을 더블 클릭해서)은 Bonjour 또는 SSDP 서비스 사용없이 IP 주소와 포트를 통해서 로컬 네트워크에서 렌더 클라이언트로 컴퓨터들을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Bonjour 또는 SSDP 서비스를 설치했음에도 불구하고, Team Render 머쉰에서 컴퓨터들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을 실행하면 대화창이 열리고 각 render client를 콜론으로 구분된 IP 주소와 포트를 입력합니다. (예: 192.168.1.2:5400, 또는 호스트 이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Render-pc-example-en:5400)".). OK를 클릭하면 또 다른 대화창이 열리고 render client를 위한 (Team Render 설정에서 지정한) 보안 토큰을 입력합니다.
IP 주소는 종종 동적으로 적용되어 그 결과 바뀌기도 하므로 주의해주세요!
IP 주소 확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합니다:
- Windows: 명령 프롬프트를 열고 (Win 7에서는: 시작/프로그램/보조 프로그램) "ipconfig”를 입력합니다. 리스트에 IP 주소와 "IP4 주소”를 볼 수 있습니다.
- Mac: IP 주소는 시스템 설정의 네트워크 메뉴에 표시됩니다.
- 렌더 클라이언트로만 사용되는 컴퓨터들은 콘솔 창에 표시되는 개별 IP 주소와 포트를 가집니다.
포트는 Renderer/Team Render 메뉴에 있는 렌더 클라이언트의 환경설정 메뉴에서 정의할 수 있고 포트 숫자는 기본값으로 5401을 가집니다. 정규 버전의 CINEMA 4D의 포트 숫자는 5400입니다.
인증된 17개의 render client들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2개월후에 여러분의 컴퓨터에 문제가 생겨서 운영체제를 다시 설치해야 합니다. 그 사이에 보안 토큰을 모두 잊어 버려, 전체 17개의 render client들을 다시 연결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머쉰 저장하기...를 사용해서 보안 토큰을 포함한 컴퓨터 목록을 저장하고 머쉰 불러오기...로 이 정보를 불러옵니다. 보안 토큰이 바뀌지 않는 한 렌더링을 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render 리스트를 수동으로도 만들 수 있어서 다수의 컴퓨터들을 빠르게 Team Render 머쉰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다음 예제와 같이 컴퓨터들의 리스트가 포함된 텍스트 파일을 생성합니다:

IP 주소와 그 뒤에 세미콜론, 그리고 각각의 컴퓨터 보안 토큰만으로 목록을 생성합니다.(대신에 호스트 이름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 목록은(해당 명령을 통해 저장에 대해; 이 목록에는 렌더 클라이언트 ID가 포함되어 있고, 이것은 머쉰은 목록을 불러올 때 온라인일 필요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머쉰 불러오기... 명령을 사용해서 불러올 수 있습니다. 리스트를 불러오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 명령은 Ping 기능을 사용해서 렌더 클라이언트 컴퓨터들을 체크합니다. 다음 창이 열립니다:

렌더 클라이언트가 반응하는지 여부를 볼 수 있습니다. 볼 수 없다면, 클라이언트 재시작 명령을 사용합니다.
이 명령은 여러분에게 각각의 렌더 클라이언트와의 연결 속도(업로드/다운로드)를 보여줍니다. 이 명령은 사용자가 wifi를 통해서 접속할 때(이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Team Render 가 정확하게 동작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할 때 유용합니다. Team Render는 종종 아주 큰 데이터를 전송해야 합니다.
render client로 사용될 컴퓨터들은 먼저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즉, 각 컴퓨터 운영자가 컴퓨터의 (환경설정 메뉴의 렌더러/Team Render 탭에 위치한) 알려진 보안 토큰을 입력하고 ‘OK’를 해야 합니다. 이 명령을 선택할 때 열리는 대화창에 보안 토큰을 입력해야 합니다.
이미 인증된 컴퓨터들을 미인증할 수 있습니다. 이 client를 Team Render에 사용하기를 원하면 보안토큰을 다시 입력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서 작업을 하고 있을 때, render client로 자신만을 위해서 그 컴퓨터를 일시적으로 사용하려면, 렌더링 후 사용을 방지 하기 위해서 이 컴퓨터르 미인증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에서 render client로만 설치된 CINEMA 4D의 인스턴스(인터페이스가 없기 때문에 프로젝트 작업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를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Team Render 환경설정을 열어서 여기에서 여러분은 포트와 보안 토큰과 같은 설정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목록에서 렌더 클라이언트를 제거합니다. 제거되는 클라이언트들 역시 미인증 됩니다.
뷰
아이콘 사이즈를 정할 때 이 옵션을 사용합니다. 작은 아이콘을 선택하면 점으로 표시됩니다.
아이콘을 사용해서 render client들을 숨기기 또는 표시하기 위해서 이 필터를 사용합니다:
- 눈 아이콘: 해당 카테고리를 숨기기/표시하기
- 돋보기 아이콘: 결과는 검색바와 결합하여 더 미세 조정할 수 있습니다.
검색 바 뿐만 아니라, 이것도 단순한 표시 필터입니다.(인증 표시되지 않은 render client도 렌더링됩니다!)
리스트에서 해당 요소들을 표시 또는 숨깁니다.
이 옵션을 해제하면, 컴퓨터 이름만 표시됩니다.(이 이름은 환경설정 메뉴에서 자유롭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이 활성화되면, 완전한 호스트 이름(Bonour가 사용된 경우)과 포트를 포함한 IP 주소 표시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픽쳐 뷰어에 표시되는 버킷의 컬러가 리스트의 컴퓨터 이름에 적용됩니다. 어떤 render client가 어떤 버킷으로 렌더링하는지 알 수 있게 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