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새로운 키나 빈 프레임을 생성합니다. 이 과정은 낙서툴의 프레임 자동 추가 옵션을(속성 매니저) 활성화해두면 자동으로 할 수 있습니다. 다른 프레임으로 이동시킨 후 새로운 낙서를 할 때마다 생성됩니다.
낙서 프레임을 제거합니다. 타임라인상의 키 프레임(낙서)도 지워집니다.
낙서만을 지우고 빈 키 프레임을 둡니다.
낙서 오브젝트는 하나의 뷰포트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다른 뷰포트에 그려주면 바로 새로운 낙서 오브젝트를 생성합니다.) 이 명령은 낙서 툴에 사용된 특정한 뷰를 고칠 때 사용됩니다. 이전에 만들어진 낙서 오브젝트는 지정된 다른 뷰로 옮겨집니다. 예를 들어 윗면에 있는 낙서를 3D 뷰로 옮기고 싶다면 3D 뷰를 선택하고 오브젝트 매니저에서 낙서 오브젝트를 선택 후 속성매니저/옵션에서 뷰포트 설정을 눌러주면 됩니다.
비트맵 이미지를 뷰포트로 로드합니다. 비트맵 이미지는 뷰포트에 맞추어 크기가 조절되고 알파채널이 있으면 고려해서 가져옵니다.
이 동작은 사용하지 않는 낙서(낙서 키가 적용되지 않은)들을 캐쉬에서 지웁니다. 낙서들이 지워질 때 낙서 오브젝트로 캐쉬가 저장됩니다. 씬이 저장될 때 이러한 낙서들은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낙서들은 독립적으로 텍스쳐(Tex)의 서브디렉토리같은 정보를 지닌 XML 파일로 내보내거나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낙서를 PhotoShop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편집하고자 할 때 이러한 XML포맷을 이용하면 유용합니다.
내보내기 커맨드를 통해 낙서를 개별 포맷으로 익스포트할 때는 TIFF(압축안된)와 PNG(압축된)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압축하여 저장 옵션이 사용되면 낙서는 씬에 압축된 PNG 파일로 저장(내부적으로)됩니다.
사이즈 X [100..4096]
사이즈 Y [100..4096]
이 값들은 비트맵의 실제 사이즈를 대신해서 낙서 동작에 이미지를 사용할 때 사용합니다. 너무 큰 비트맵 이미지는 뷰포트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습니다. 큰 비트맵은 동일한 비율의 사이즈로 수동 입력해야만 합니다. 이 사이즈는 변경될 수 없습니다.
이 두 옵션을 사용하면 스케치된 낙서툴에 기록된 프레임의 잔상을 표시합니다. 하이라이트된 색상의 밝기(투명도)로 우선 순위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낙서(이미지)의 해상도를 부드럽게 만듭니다. 이 옵션은 픽셀을 최대한 보정합니다. 사이즈 X/Y 값이 클수록 이미지가 더욱 부드러워집니다.
내보내기 포맷 선택 메뉴를 참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