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현재 장면 안의 파이로클러스터 효과를 렌더링 시 계산할지를 정의하는 설정입니다.
장면 안의 파이로클러스터 효과를 렌더링하려면 오브젝트 렌더링 옵션을 체크해야 합니다.
숨은 파이로클러스터(오브젝트)들을 렌더링하려는 경우에 숨긴 오브젝트 렌더링 옵션을 체크합니다.
몇 개의 프리셋 중에서 원하는 모드를 선택 가능합니다. 모드들 간의 주된 차이는 렌더링의 질로 작업에 걸리는 시간입니다. 렌더링의 퀼리티가 높은(렌더링에 시간이 그만큼 오래 걸립니다)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월드 분할 사이즈는 볼륨트레이서에 있는 파이로클러스터 볼륨 효과의 렌더링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중요한 기술로 분할 사이즈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면 렌더링속도가 향상될 수 있습니다.
렌더링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이 될 수 있는 파라미터입니다. 여기에서는 볼륨트레이서 엔진의 광선 투과정도를 결정합니다. 일반적으로 볼륨은 포인트의 투과율이 0%, 즉 불투명정도가 100%가 될 때까지 계속해서 광선을 추적합니다. 불투명도의 한계치가 100%가 약간 안되는 앞 지점에서 광선의 투과 추적을 정지시켰다 해도 대부분의 경우에는 결과에 큰 차이는 볼 수 없습니다. 최적의 값은 1%에서 10% 사이에서 렌더링 시간의 단축에 큰 효과가 있습니다.
앞장에서도 설명했지만 파이로클러스터의 볼륨 샘플링은 조금 특수합니다. 설정에 대한 효과는 샘플 거리 설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과 비슷합니다. 차이는 그림자에만(소프트 그림자(소프트맵)) 영향을 준다는 점입니다.
이 설정을 사용해도 많은 계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볼륨트레이서 엔진의 그림자가 생성되어 나타나는 위치의 한계를 정의합니다. 일반적으로 광선 투과 한계의 경우처럼 광선을 추적할 때 투과율이 0이 되는 곳까지 계속해서 광선을 추적하게 됩니다. 이처럼 볼륨트레이서는 불투명도가 100%에 이르렀을 때 계산을 그만둡니다.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되지만 렌더링 시간을 아끼시려면 1%에서 10%의 값으로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파이로클러스터의 볼륨 트레이서의 샘플링은 약간 특수하다고 위에서도 언급드린바 있습니다. 설정에 따른 효과의 일반적인 설명은 볼륨트레이서 전체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과 같습니다. 차이는 하드 그림자(하드맵)에만 영향을 준다고 하는 것입니다.
이 설정을 사용해 계산 시간을 좀 더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레이트레이스의 광선은 볼륨부분에 들어와 투과율이 0이 되는 깊이까지 광선을 추적하게 됩니다. 항상 볼륨트레이서는 불투명도가 100%에 이르렀을 때 계산을 그만두는데 이러한 광선의 투과 한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렌더링 시간을 아끼시려면 1%에서 10%의 값으로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파이로클러스터 팁과 트릭에서 설명한 것처럼 볼륨트레이서에서 사용하는 투과율(광선 투과 한계)을 올려주면 렌더링이 빠르게 됩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높은 수치를 주게 되면 어떠한 효과도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엔 레이트레이스 보정 옵션을 조정하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다음 그림을 보면 레이트레이스 보정을 해제로 하고 있을 때와 속성 매니저에서 레이트레이스 투과 한계의 값이 커지는 것에 따라 볼륨 효과가 투명하게 렌더링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볼륨중에서 보이는 광선이 100%의 불투명하게 되기 전에 파이로클러스터에서는 투과 한계로 설정된 투과의 값을 사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레이트레이스 보정 파라미터를 보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 | ![]() |
파이로클러스터는 기본적으로 볼륨 라이트 효과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역볼륨 라이트 등의 Cinema 4D의 라이트나 효과를 사용해 파이로클러스터의 대기에 조명을 이용할 수가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 파이로클러스터 속성 매니저 설정의 그림자 페이지에서 그림자 컬러 필터옵션을 체크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그라데이션
그라데이션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파이로클러스터를 잘 다룰수 있는 열쇠가 됩니다.
![]() | ![]() |
파이로클러스터 속성 매니저 설정 창에서 그림자 페이지에서 그림자 컬러 필터 옵션을 체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