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속성
이러한 설정들은 눈에 띄게 뚜렷한 큰 차이를 만들지는 않지만 반드시 시간을 투자해 이러한 기능을 시험해 보아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익스포넨샬과 HSV 모델의 옵션은 온 상태로 해두어야 합니다. 이미지를 미세하게 조정하려면 암부 증가 / 명부 증가 옵션을 이용합니다.
색의 분산을 픽셀의 노출 분포도에 따라 조정합니다. 선형적(옵션이 해제)으로는 조정되지 않습니다.
위의 그림에서는 강한 발광 재질을 작은 평면(흰색 사각평면)에 적용한 예입니다.(재질 발광 채널: 밝기= 1,200%) 그림의 좌측에서는 조명처럼 보이는 평면에서 적색의 평면으로 너무 강하게 비추어져 하얗게 빛이 뭉쳐 있습니다.(이러한 현상을 번 아웃(burnout)이라고 부릅니다.("하얗게 탔다"라고도 표현합니다.)) 우측의 그림은 익스포넨샬 조정결과 확대해서 보면 적색의 평면상에 빛이 매끄럽게 표현되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만약 이 옵션이 체크된 경우 HSV(Hue,Saturation,Value)모델로 색모델이 변환되어 V(명도)만 영향을 받습니다. 색조와 채도는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쉽게 말해 진한 청색계열이 보라색으로 바뀌거나 하지는 않는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스카이 또는 배경 오브젝트와 같은 뒷배경(만약 배경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컬러 맵핑이 영향을 줄 것인지를 여기서 정의할 수가 있습니다.
암부 증가 [0..1000]
명부 증가 [0..1000]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에 대한 조정을 기본적으로 이 설정을 통해 정의합니다.
다음에 나오는 그림예제에서 이 양쪽 모두의 설정에 관한 여러 가지 값을 입력했을 경우의 예제들을 다수 소개하고 있습니다. 당연하겠지만 이 그림들과 같은 값을 여러분 장면에서 사용했다고 해도 그 결과는 같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올바른 원하는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여러분이 테스트한 결과를 토대로 해야 하며 어디까지나 아래 이미지들은 참고로만 이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