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 포탈과 폴리곤 라이트: 배치와 기능
쉽게 말해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은 랜덤한 광선의 분산을 기초로 하여 계산되고 방사된 무수한 광선 인트들이 특정 지역의 각 컬러 또는 밝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본래 많은 광선들이 광선의 해당 포인트 지역에 도착하는 것은 조명의 밝기와는 무관합니다. 이것은 무수한 광선이 지역에 집중되어 라이트와 그림자 계산을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창문, 램프, 텔레비젼과 같은 빛을 방출하는 오브젝트는 GI 포탈 또는 폴리곤 라이트로 GI 계산을 최적화하기 위해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GI 포탈/폴리곤 라이트는 라이트가 방출되는 작은 서페이스를 배치하여 창문이나 문을 통해 방으로 라이트가 유입되는 실내 씬을 처리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포탈은 스카이 조명을 이용하는 야외 장면에서는 쓸모가 없습니다.
GI 포탈과 폴리곤 라이트의 다른 응용 범위:
다음과 같은 예는 추가적인 광선이 포탈이나 에어리어 라이트에서 방사됩니다. 방사되는 광선의 개수는개별 에어리어 샘플링 또는 개별 스카이 샘플링 옵션에서 정할 수 있습니다. 이 이상의 설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는 라이트 매핑에도 장점이 있습니다.
GI 포탈과 폴리곤 라이트는 스카이 오브젝트 또는 돔형 스카이 같은 직접광을 보내는 야외 장면에서는 필요 없습니다.
GI 포탈은 창문에 딱 맞게 배치시켜야 합니다. 창문의 십자 프레임 주변으로 배치한 여러 개의 GI 포탈로 전체 이미지 품질이 향상될 것입니다.
GI 포탈은 일반적으로 창문을 통해 빛이 방으로 들어오는 경우 그 위치에 한 개의 폴리곤 서페이스(예: 평면 오브젝트)를 배치합니다. 노말 방향은 반대가 되어 방을 향합니다. 각 GI 포탈 형상은 창문이나 개구부에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맞추어야 합니다. 만약 주변 벽쪽으로 늘어나서 GI 포탈이 너무 커졌다면 좋지 않은 얼룩이 발생합니다(QMC 모드 참조). 정확성을 낮춘 상황이므로 부정확한 GI 포탈의 결과가 발생하며 GI에 노이즈가 발생합니다.
다수의 GI 포탈을 정확한 결과를 위해 창문과 십자 프레임(위의 이미지와 같이)에 적용시켜야만 합니다. 한 개의 GI 포탈만을 적용하면 십자 프레임을 덮어 현실감이 떨어지게 됩니다.
다른 방법은 창문의 십자 프레임 각 평면에 개별적으로 GI 포탈을 할당한 경우는 중복 계산하게 되어 과장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GI 계산에서 이런 구조물들은 제외시키도록 합니다(컴포지팅 태그를 사용). 스테인 글래스가 좋은 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