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시작하기
BodyPaint 3D에서는 와콤사의 타블렛등을 포함한 WinTab 규격에 준거한 모든 그래픽 타블렛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 펜의 필압, 기울기, 방향, 휠 등의 입력 정보도 모두 지원합니다.
이러한 입력을 브러쉬의 각 파라미터에 링크하는 방법은 이펙터설정을 참조합니다.
이 윈도우는 비트 맵 이미지를 2D로 표시하여 페인트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더 나아가 UV 메쉬를 표시하거나 편집할 수도 있습니다.
BodyPaint 3D로 작업하는 경우 주로 BodyPaint 3D Paint나 BodyPaint 3D UV Edit의 인터페이스로 작업한다고 생각하지만 인터페이스를 커스터마이징할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Cinema 4D의 인터페이스도 필요에 따라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쪽을 참조.
이 매니저에는 미리 준비되어있는 컬러가 표시됩니다. 여기에 유저가 생성한 사용자 컬러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레이어 매니저는 프로젝션 페인트 모드나 BodyPaint 3D를 2D 페인트 툴과 같이 사용하고 싶은 경우 사용합니다.
Cinema 4D의 소프트웨어 음영처리는 일반적으로 OpenGL 보다 낫고 빠르게 바꿉니다.
이것은 뷰포트에서 직접 볼 수 있습니다: 이전 소프트웨어 쉐이딩 모드 대신 OpenGL 디스플레이 모드(확장 OpenGL)를 페인팅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OpenGL로 표시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재질 채널 텍스쳐를 뷰포트에서 직접 동적으로 편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예를 들어 피사계 심도 또는 SSAO 옵션을 사용하여 그릴 수 있습니다.
다음 재질 채널 텍스쳐는 OpenGL에서 평가하고 표시할 수 있으며 BodyPaint 3D에서 동적 편집에 적합합니다:
추가 채널 텍스쳐도 표시됩니다(환경, 노말) 하지만 페인트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적용된 텍스쳐는 뷰포트에 표시되지 않더라도(예. 디스플레이스먼트 텍스쳐) 선택 채널 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