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미터
각 오브젝트 노드는 노드가 어떤 타입의 오브젝트 또는 태그를 표현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입력과 출력 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노드의 왼편 포트는 입력 포트입니다 - 입력 포트는 오브젝트, 재질, 태그 등의 데이터를 전달 받습니다. 오른편 포트는 출력 포트로써 하나 이상의 노드에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대부분의 이러한 포트들은 오브젝트, 태그, 재질 속성에 해당하며 이 매뉴얼의 해당 장에 설명되어있습니다. 나머지 포트들은 아래에 설명되어있습니다. 이러한 포트들 중 몇몇은 오브젝트 노드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 재질이나 태그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이러한 포트들 중 몇몇은 입력으로만 혹은 출력으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메뉴에서 요소의 인풋 또는 아웃풋을 생성(파랑 또는 빨간 사각형을 클릭)하는 대신에, 이 포트들은 속성 매니저에서 각각의 사각형으로 드래그&드롭하여 생성될 수 있습니다:
불러오기 또는 내보내기 포트로 사용되는 요소 파라미터들은 속성 매니저에 같이 표시됩니다.
On 포트는 재질과 태그 노드를 제외한 모든 오브젝트 노드에 사용 가능합니다. On 포트는 부울 타입 값을 통해 끄거나 켤 수 있습니다; 이것은 노드의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와 데이터 전달이 멈추는 경우를 컨트롤하는데 있어 유용합니다.
만약 On 포트가 TRUE (1) 부울 값을 받으면 노드가 켜지며 FALSE (0) 부울 값을 받으면 노드는 꺼집니다. On 포트를 추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노드는 켜짐 상태가 됩니다.
이 포트를 이용하여 참조 오브젝트에 값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오브젝트 노드에 다른 오브젝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것은 오브젝트 매니저로부터 다른 오브젝트를 드래그하여 속성 매니저의 노드 참조 박스에 옮겨넣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습니다.
속도 위치 [XYZ ]•
속도 각도 [XYZ ]•
속도 크기 [XYZ ]•
이 포트들은 오브젝트의 현재 위치, 각도, 크기에 대한 속도를 벡터로 출력합니다.
여러분은 이 포트들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글로벌 또는 로컬 매트릭스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이전 위치 [XYZ ]•
이전 각도 [XYZ ]•
이전 크기 [XYZ ]•
이전 글로벌 매트릭스•
이전 글로벌 매트릭스•
• 기억 레벨 [-2147483648..2147483647]
이 포트들은 애니메이션의 이전 상태로부터 값을 출력합니다. 기억 레벨 입력 포트는 히스토리를 통해 얼마나 많은 횟수의 이전 상태를 기억할 것인지 정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