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미터
타이머가 얼마나 지속될지 및 타이머가 한번만 사용될지 아니며 계속 사용될지를 정의합니다.
이 값은 일단 선택되었을 시 노드가 얼마나 오랫 동안 온 상태를 유지할 것인가를 프레임 단위로 정의합니다.
이 옵션이 사용 중인 경우 노드는 카운트다운이 완료될 때마다 원래의 상태로 돌아갑니다. 모션 센서가 모션을 감지할 때마다 켜지는 것처럼 노드는 시간을 반복해서 활성화할 것입니다. 노드는 한번만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트리거 될 때마다 작동됩니다.
이 옵션이 사용 중인 경우 노드는 한 번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은 위에서 언급했던 모션 센서처럼 사용할 수 없는데 빛을 한 번만 트리거하기 때문입니다; 즉 연이은 모션을 감지되지 않습니다.
추가 입력 포트:
파티클 유동을 이 포트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시간은 각 파티클에 대해 다르게 흘러갑니다. 예를 들어 이 노드를 이용하여 외부 이벤트를 기반으로 파티클을 분열시키기 시작할 수 있으며 분열의 타이밍을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노드 파라미터는 키 프레임으로 애니메이션 되므로 기본적으로 값을 올바르게 보간하기 위해 Cinema 4D의 시간이 내부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 포트에 여러분이 지정한 시간을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그것의 데이터 타입은 시간이며 가장 단순함 경우는 실수형입니다. 만약 전달되는 값이 없을 경우 Cinema 4D의 시간이 사용됩니다.
True 부울 값은 노드를 켜며 False 부울 값은 노드를 끕니다.
출력 포트:
타이머가 사용되었을 시 True 부울 값을 출력합니다. 그 외의 경우는 False를 출력합니다.
이것은 타이머가 얼마나 오래 지속되었는가 가령 시간이 얼마나 지났는가입니다. 예를 들어 값 5는 타이머가 5초 동안 시간이 흘렀음을 의미합니다.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얼마나 많이 경과되었는지를 퍼센트로 출력합니다. 예를 들어 타이머 입력 포트가 40 프레임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10 프레임이 경과되었을 때 이 포트는 25% 값을 출력할 것입니다.
타이머에 영향을 받는 파티클을 출력합니다. P 전달 노드 또는 P 전달 AB 노드의 파티클 출력 포트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 포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