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미터
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파티클의 스쿼시, 스트래치, 또는 균등 크기 조절이 가능합니다. 그라데이션은 파티클의 나이에 따라 스케일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합니다.
파티클의 세 축들은 이 값으로 크기 조절 됩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파티클을 균등하게 크기 조절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랜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크기량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X 크기 [-∞..+∞%]
Y 크기 [-∞..+∞%]
Z 크기 [-∞..+∞%]
파티클의 크기를 불균등하게 조절하고자 할 경우 이 값들은 원하는 대로 설정하십시오. P 정렬 노드와 함께 사용될시 이 값들을 이용하여 파티클의 진행 방향을 따라 파티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파티클의 속력에 따른 스트랫칭 효과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수명 이후가 사용 중인 경우 그라데이션을 이용하여 파티클의 나이를 기반으로 하여 파티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티클의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파티클의 크기가 함께 증가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라데이션의 좌측 엣지는 파티클이 생성되는 순간을 나타내며 우측 엣지는 파티클이 소멸하는 순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그라데이션은 파티클의 수명 범위를 커버합니다. 그래프상의 위치의 밝기는 크기 값에 대한 곱셈인자의 역할을 합니다.
노트를 생성하려면 그라데이션 아래의 빈 영역을 클릭하면 그 위치에서 컬러의 노트가 추가됩니다. 노트의 컬러를 변경하려면 노트를 클릭하고 시스템 컬러 다이얼로그를 이용하여 원하는 컬러를 선택합니다. 노트를 제거하려면 노트를 그라데이션으로부터 멀리 가져다 놓습니다. 그라데이션의 작은 다이아몬드는 바이어스 핸들이며 그라데이션에 대한 보다 세밀한 컨트롤을 위해서 바이어스 핸들은 양끝에서 끝으로 컬러 노트의 보간을 당깁니다.
추가 입력 포트:
True 부울 값은 노드를 켜고, False 부울 값은 노를 끕니다.
노드 파라미터는 키 프레임으로 애니메이션 되므로 기본적으로 값을 올바르게 보간하기 위해 Cinema 4D의 시간이 내부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 포트에 여러분이 지정한 시간을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그것의 데이터 타입은 시간이며 가장 단순함 경우는 실수형입니다. 만약 전달되는 값이 없을 경우 Cinema 4D의 시간이 사용됩니다.
P 전달 노드의 파티클 출력 포트 등과 같이 이 포트를 변경하고자 하는 크기 값의 파티클 유동에 연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