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미터
바람 효과는 파티클의 질량과 크기를 고려할 수 있으며 이것은 작고 가벼운 오브젝트는 바람이 쉽게 들어올릴 수 있으며 무거운 물체는 움직이기 어렵게 하도록 합니다.
바람의 위치와 방향은 오브젝트의 축 시스템을 이용하여 컨트롤됩니다. 이 오브젝트의 이름을 이 박스에 가져다 놓으십시오.
다음 두 가지 타입의 바람 모드가 있습니다: 평면(2D) 및 구(3D).
타입을 평면을 설정할 경우 힘은 오브젝트의 XY 평면(가령 오브젝트의 Z축을 따라)에 수직하게 작용할 것입니다. 뷰포트에 화살표가 나타나 힘의 방향을 표시합니다. 속성 매니저의 노드 속성 탭에서 아이콘 사이즈 설정을 이용하여 화살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타입이 구로 설정될 경우 힘은 오브젝트의 원점으로부터 구 형태로 적용될 것입니다. 구형 바람의 힘은 뷰포트에서 구로 나타나며 속성 매니저의 노드 속성 페이지에서 아이콘 설정을 이용하여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바람의 힘의 강도입니다. 이 값이 클수록 파티클에 작용하는 힘은 커집니다. 파티클의 움직임 방향뿐만 아니라 파티클을 가속시키기도 합니다. 여러분이 원하실 경우 음의 값을 입력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파티클에 작용하는 힘은 반대 방향이 됩니다.
오브젝트 원점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른 힘의 크기 감소를 조절합니다. 값이 0일 경우 감소는 해제되며 파티클이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모든 파티클에 바람의 힘이 작용합니다. 값이 증가함에 따라 영향력은 지수 함수로 증가합니다. 파티클이 오브젝트 원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파티클에 작용하는 힘은 약해집니다. 감소 값이 커질수록 파티클에 작용하는 바람의 영향력 범위는 현저히 줄어듭니다.
질량에 의존 [-100..100%]
크기에 의존 [-100..100%]
이 값들은 파티클의 질량과 크기를 고려합니다. 파티클의 질량과 크기가 커질수록 파티클에 작용하는 바람의 영향력은 줄어듭니다.
터뷸런스 [0..+∞]
빈도 [0..+∞]
구조 크기 [0..+∞]
바람에 터뷸런스를 추가하려면 터뷸런스를 0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십시오. 값이 클수록 터뷸런스의 강도는 커집니다. 이 효과는 강도 값과는 무관하며 강도가 0으로 설정되어있다 하더라도 파티클에 영향을 줍니다. 빈도는 터뷸런스에 의한 변화의 속도를 정의합니다. 값이 클수록 파티클에 작용하는 힘의 변화는 커집니다.
터뷸런스는 노이즈의 3차원 타입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이 값이 작을수록 랜덤의 크기는 작아집니다. 프로펠러의 터뷸런스를 생각하면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며 크기는 구조 크기 값으로 정의됩니다.
추가 입력 포트:
True 부울 값은 노드를 켜며 False 부울 값은 노드를 끕니다.
노드 파라미터는 키 프레임으로 애니메이션 되므로 기본적으로 값을 올바르게 보간하기 위해 Cinema 4D의 시간이 내부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 포트에 여러분이 지정한 시간을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그것의 데이터 타입은 시간이며 가장 단순함 경우는 실수형입니다. 만약 전달되는 값이 없을 경우 Cinema 4D의 시간이 사용됩니다.
이 포트를 P 전달 노드의 파티클 출력 포트 등과 같이 바람의 힘에 영향을 받을 파티클 유동에 연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