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속성
보통 오브젝트는 뷰포트의
디스플레이 태그는 뷰포트 내에서 디스플레이 모드를 혼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오브젝트들은 고로우 쉐이딩을 사용하며 다른 오브젝트들은 와이어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태그를 사용하는 주요 이유는 뷰포트의 화면 전화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 여러분이 현재 관심있는 오브젝트들에 대해서 고로우 쉐이딩과 같은 자세한 모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오브젝트들에 대해서는 와이어 프레임과 같은 덜 세밀한 모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프로젝트 설정의 같은 이름(디테일 레벨)의 커맨드와 동일한 효과를 지닙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제네레이터와 디포머에 대한 디테일 레벨을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태그의 값은 프로젝트 설정의 값을 상속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설정에서 디테일 레벨을 50%로 설정하고 여러분이 현재 작업 중인 오브젝트에 100%로 설정한 디테일 레벨을 갖는 표시 태그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현재 덜 중요한 오브젝트는 감소 디테일 레벨을 사용하게 하고 중요한 오브젝트는 완전한 디테일 레벨을 갖도록 할 것입니다.
이 파라미터는 렌더링 시 오브젝트의 가시성을 컨트롤합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보이기를 0%로 설정한 경우 오브젝트는 렌더링 시 보이지 않습니다. 50%로 설정 시 오브젝트는 부분적으로 보일 것입니다(50% 투명도). 100%에서 오브젝트는 렌더링 시 완전히 보일 것입니다. 여러분이 보이기를 0%로 설정 시 오브젝트는 뷰포트에서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이 옵션을 이용하여 각 오브젝트의 텍스쳐 표시를 개별적인 끄기가 가능합니다.
개별 오브젝트에 대한 반사를 활성화 또는 해제합니다.
개별 오브젝트에 대한 OpenGL 테셀레이션을 활성화 또는 해제합니다(예. 위치 변경이 활성화된 경우).
이 설정을 이용하여 확장 OpenGL의 표시를 끄거나 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