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미터
이펙터의 오브젝트 출력 포트를 이펙터의 이펙터입력 포트에 접속합니다.
시간은 시간의 간격에 따른 효과입니다. 같은 이름의 출력 포트를 이용할 경우 이펙터의 결과에 추가되는 데이터만을 여기 시간에 줄 수가 있습니다. 그 외 입력포트는 모두 기본적으로 그 이름이 그 기능을 대신 설명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포트들은 같은 기능을 하는 출력포트에 접속될 수 있습니다:
• 글로벌 매트릭스
• 컬러
• UV [XYZ ]
• 웨이트 [-∞..+∞]
출력 포트는 부속되는 이펙터에 의해 변경된 각종 설정 값을 출력합니다.
여기서 먼저 언급 할 포트는 강도입니다. 이것은 강도, 감쇠, 입력 포트(이펙터 참조) 와 웨이트의 값에 의해 조정되는 이펙터의 일반적인 스케일을 조합한 결과입니다.(웨이트는 곱셈이 될 것입니다). 이 2개의 포트는 일반적으로 XPresso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훌륭한 포트입니다(뒤의 예를 참조).
글로벌 매트릭스, 컬러, UV, 가시성 그리고 시간의 각 값은 이펙터에 의해 변경됩니다. 그리고 그러한 입력포트에 데이터가 주어지고 있는 경우 대단히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가시성은 이펙터에 의해 생성되는 불린 연산 값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어느 특정 값에 이르면 0값을 결과로 내놓습니다.
글로벌 매트릭스•
컬러•
UV [XYZ ]•
보이기•
웨이트 [-∞..+∞]•
시간 [-∞..+∞]•
강도 [-∞..+∞]•
여기서 여러분은 몇 개의 광원을 가지고 쉐이더를 사용해 라이트의 강도를 조정하고 싶다고 합시다. 노드 이펙터를 사용하면 이것은 전혀 문제없습니다:
모든 광원을 할당할 수 있는 오브젝트 리스트 노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모든 광원의 글로벌 매트릭스가 이펙터 노드에 적용됩니다. 이펙터노드는 각각의 위치에 대해서 웨이트의 값을 계산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레인지 맵퍼노드를 개입시켜 광원의 타당한 강도를 출력하게 됩니다. 설정은 이상입니다: 이것으로 쉐이더를 사용해 광원의 강도를 조정할 수가 있습니다. 이 방법은 대량의 오브 젝트 설정을 조정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