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펙터
이펙터의 전체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이 설정을 사용합니다. 0%보다 작게 또는 100%보다 크게 입력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모그라프 선택 또는 모그라프 웨이트맵 태그는 클로너 오브젝트나 기존의 모그라프 선택 영역 공간에 드래그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이펙터가 생성됩니다.
그러면 태그의 속성에 따라, 이펙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합니다:
최소/최대
내부적인 범위의 값을 증가 또는 감쇠시키려면 이 설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필드 목록에서 레이어에 대한 리맵핑 설정도 참고하세요. 다른 레이어와 결합하여 더 강력하고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이 필드 기능을 원하는 방법으로 사용하세요.
5종류의 랜덤 모드가 있습니다:
이러한 2개의 모드는 확실히 랜덤인 결과를 가져옵니다. 일반적으로 가우스는 랜덤보다 약간 낮은 값을 제공합니다. 배정 값을 변경하면 완전히 다른 랜덤치가 됩니다.
각 클론에 랜덤을 위해 내부적으로 3D 노이즈가 사용됩니다. 터뷸런스를 사용하면 노이즈의 균일성이 떨어집니다. 랜덤치를 애니메이션 하는 경우에는 노이즈가 특히 유용한데 그 이유는 일정거나 복합적인 방법으로 랜덤치를 변경하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이것은 쉐이더 이펙터에 불러들인 노이즈와 같은 효과를 가집니다. 노이즈/터뷸런스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포함됩니다:
이 모드는 각 클론이 랜덤으로 확산되는 동안 동일한 횟수로 나타나도록 합니다.
두가지 방법으로 이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멀티 쉐이더를 함께 사용하면 각 클론이 랜덤하게 자신만의 텍스쳐를 할당 받습니다. 이 텍스쳐는 한번만 사용될 것입니다. 실제 적용된 예를 들면 카드 게임에서 각 카드(텍스쳐)들은 단지 하나씩만 있습니다.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전제 조건이 꼭 필요합니다:
다양한 배정 값은 "카드"의 다양한 혼합 결과를 갖습니다.( 시작 값).
위치, 스케일, 각도 등에 대해 같은 값을 동기화시키야 할 경우에는 이 옵션을 켜 주세요. 이 옵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의 변형에 대해서 개별의 랜덤치가 보간됩니다.
이것은 노이즈와 터뷸런스 모드에 있어 중요한 옵션입니다. 만약 이 옵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노이즈가 내부적으로 만들어질 때 X, Y, Z에 대해서 동일한 랜덤치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이것은 애니메이션이 재생될 때 사선 방향의 움직임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다른 각 랜덤치를 보간하려면 이 옵션을 체크해 보십시오. 보다 랜덤하고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만드는게 가능합니다.
배정의 값을 변경하면 완전히 다른 랜덤치가 생성됩니다.
글로벌로 설정하면 노이즈가 공간적으로 고정됩니다. 즉 클로너 오브젝트가 움직이면 클론에 대해서 편집 가능한 랜덤치를 할당할 수 있고 시간적인 간격이 생기게 됩니다(애니메이션 스피드를 0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UV로 설정하면 이동하는 클로너 오브젝트의 공간적인(애니메이션에 종속되지 않습니다) 값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노이즈와 터뷸런스 랜덤 모드와 병용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만약 스플라인 커브를 이용해 여러분이 정의한 감쇠가 시간에 따라 일어나도록 설정하고 싶으면 여기에 0보다 큰 값을 입력합니다. 애니메이션 스피드 설정(노이즈와 터뷸런스 랜덤 모드와 병용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사용 가능합니다)을 사용하면 대단히 좋은 결과물로 마무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 값은 노이즈의 글로벌 스케일을 나타냅니다. 위의 그림에서는 예를 위해 매우 큰 크기의 값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실제의 랜덤의 정도와는 그다지 관계가 없습니다. 위 그림의 노이즈가 만약 좀 더 작게 만들어졌다면 물결과 같은 구조가 좀 더 눈에 띄지 않게 될 것입니다. 즉 각각의 클론은 인접하는 것들로부터 실제 랜덤 값을 받아야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