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퍼런스 Cinema 4D 고급 기능들 모션 트래커 오브젝트 트래커
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 CINEMA 4D Studio
오브젝트 트래커

기본 좌표 트래커 재구성

트래커

모션 트래커

오브젝트 트래커는 해당 모션 트래커가 필요합니다(그렇지 않으면 모든 설정들이 회색이 됩니다). 이 필드에 모션 트래커에 대한 링크가 표시됩니다. 오브젝트 트래커를 생성할 때 씬에 하나의 모션 트래커가 있으면, 이 링크는 자동적을 생성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현재 선택되어 있는 모션 트래커 오브젝트가 연결됩니다. 일반적으로, 이 필드는 자동적으로 (한번에 여러개의 모션 트래커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실험하고 어느 하나를 링크시킬 것인가를 결정하려는 경우를 제외)중 하나의 방법으로 자동으로 채워지게 합니다.

지오메트리 오브젝트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3D 오브젝트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지오메트리를 이용한 분석

이 방법에서는, 라이브 동영상내의 오브젝트를 가능한 한 정확하게 추적하도록 3D 오브젝트(이하에서는 '참조 오브젝트'라 함)가 모델링됩니다. 추적이 쉽도록 이 오브젝트는 2 D 트랙에서 마커를 넣을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은 영상내의 3D 오브젝트로 대체할 수 있는 같은 오브젝트가지만, 반드시 오브젝트일 필요는 없습니다.(단, 관련성이 매우 높은 것이 요구됩니다) 인간의 엄지 손가락을 로봇의 엄지 손가락으로 대체합니다. 이 엄지 손가락을 추적할 수 있지만 엄지의 시각적 추적하기 쉬운 특성이 매우 적기 때문에 매우 어렵습니다. 대신 엄지 손가락의 움직임에 추종하고 엄지 손가락에 붙어 있는 검사된 패턴(실제로 라이브 영상에서는 특별한 추적 장갑을 사용할 것입니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체커보드 패턴에 합동면이 놓여 있습니다.

평면이 참조 오브젝트로 만들어지고 (프레임에 관한 주의사항; 이것을 움직이고 싶으면 나중에 참조 오브젝트를 오브젝트 트래커의 자식 오브젝트로 만들어야 합니다.) 위치는 채커보드 패턴 위에 놓입니다. 라이브 동영상에서 같은 크기의 참조 오브젝트를 가집니다(이 예제에서는 14 cm x 14 cm).

이 레이어는 오브젝트 트래커의 지오메트리 오브젝트 필드(트래커 탭)에 배치됩니다. 지오메트리 오브젝트에서 다음 사항이 사실이어야 합니다:

가능한한 지오메트리가 모든 오브젝트 트랙들을 커버해야 합니다

오브젝트는, (라이브 동영상의 모양과 맞도록) 오브젝트 트랙 영역내에, 가능한 한 정확하게 모델링되어 위치해야 합니다. 위 예제에서 이것은 간단한 평면이 사용되어 쉬운 예입니다. 하지만, 배우의 얼굴이 추적되어야 할 경우(예. 마스크로 교체해야 하는), 참조 오브젝트는 가능하면 얼굴의 정확한 측정을 사용해서 그 배우의 얼굴을 반영해야 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모션 트래커 오브젝트(재구성 탭)에 촛점 거리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오브젝트에 대한 3D 분석 실행 버튼을 클릭할 때 다음과 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위에서 지정한 동영상에서 카메라의 화각에서 씬으로 빛이 방출되고 참조 오브젝트와의 교차점이 계산됩니다.
    이 교차점들은 오브젝트 공간에서 2D 트랙에 3D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D 트랙과 기존의 3D 위치의 조합을 사용하여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참조 오브젝트의 위치와 회전이 영상의 다른 세그먼트에 대해 계산됩니다.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오브젝트의 정확한 움직임을 구하기 위해서 오브젝트 추적에 대해 키프레임이 생성됩니다. (움직임 자체는 지금까지의 카메라 분석을 통해 이미 애니메이션이 적용되어 있을지도 모릅니다) 분석이 성공적으로 끝난 경우, 일치하는 3D 오브젝트는 동영상 전체 길이에 걸쳐 그것이 정확하게 움직이도록 오브젝트 트래커의 자식 오브젝트가 될 필요가 있습니다. 3D 오브젝트 분석에 성공했는지 여부와 충분히 높은 품질인지 여부를 알기 위해 이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지오메트리를 이용한 분석은 지오메트리가 없을 때보다 더 적은 트랙들을 요구합니다. 종종 동영상에서 추적되는 오브젝트는 매우 작고 필요한 트랙들이 극소수입니다. 이 방법으로 필요한 최소 필요한 트랙은 각 지점에 대해 3개입니다.(분석에 적합한 트랙이 3개 있다면, (이 트랙은 카메라의 화각에서 지오메트리 오브젝트에 놓여야 하는데), 3D 분석을 만들기 위한 참조 오브젝트로서 간단한 평면으로 충분합니다). 충분한 품질의 트랙이 더 있다면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참조 오브젝트로 폴리곤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씬 또한 보정됩니다. 즉, 다음에서 설명하는 모션 트래커 보정 태그(위의 방법과 연동될 필요는 없습니다)를 필요하지 않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지오메트리-자유 솔브와는 반대입니다.

지오메트리-자유 분석

지오메트리-자유 분석(지오메트리 오브젝트 필드는 빈 채로 유지)는 처음에는 규모가 정의되지 않은 상태의 공간 또는 카메라에서 떨어진 공간에 있는 트랙의 그룹을 생성합니다. (필요한 최소 트랙수는 7개의 오브젝트 트랙이며; 충분한 품질의 트랙이 많으면 많을 수록 좋습니다) 이것은 또한 모션 트래커 고정 태그에 의한 '보정'되지 못한 카메라 트래킹과 유사합니다.

이것은 제일 처음에 (가장 먼저 카메라 분석과 무관한) 포인트의 정의되지 않은 그룹을 모션 트래커 고정 태그에를 사용하여 교정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여기에서 정의하는 축과 위치는 (월드 좌표계만을 사용하는 카메라 분석과는 달리) 오브젝트 트래커의 좌표계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것은 움직임을 일치시켜 폴리곤 오브젝트를 오브젝트 트래커의 자식 오브젝트로 하기 위해 폴리곤을 만들 때, 그 위치와 회전을 0으로 설정하고 오브젝트 트래커의 원점에서 제대로 동작함을 의미합니다.

 적용된 트랙들

Tip:
여기에 정의된 트랙 설정은 모션 트래커 오브젝트의 설정에도 적용됩니다(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추적된 오브젝트의 모든 트랙들(자동과 사용자 트랙들)은 이 목록에 표시됩니다. 이렇게하면 (목록에 나타난 것 제외) 모든 트랙에 대해 어떤 트랙이 카메라 추적에 사용될 필요가 있을지를 모션 트랙 오브젝트를 인식합니다.

여기에서의 선택은 뷰포트에서의 선택에 해당합니다.

목록의 설명은 오브젝트 트래커 오브젝트의 여기를 참조하세요. 기능은 완전히 동일합니다.

가상 키프레임

이 옵션은 선택한 트랙의 가상 키프레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트랙은 키를 생성하고 추적하여 생성됩니다. 이 추적은 픽셀 패턴에 저장된 키를 사용합니다. 물론 프레임에서 멀리 이동함에 따라 비디오 과정에서 변경됩니다. 변경 사항이 너무 큰 경우 추적이 실패하고 수동으로 조정해야 합니다. 가상 키프레임은 아래 설정에 따라 추적된 섹션에 새 키를 자동으로 추가하여 추적하는데 유용합니다. (수동으로 생성된 키프레임과는 달리 영구적입니다. 이러한 가상 키프레임은 가상 키프레임 설정에 따라 달라지며 따라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가상 키프레임을 사용하여 픽셀 패턴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더 나은 추적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가상 키프레임이 원래의 수동으로 정의된 풋티지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키를 수동으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가상 키프레임은 모션 트래커 그래프에서 밝은 파란색으로 표시됩니다.

모드

여기서 생성해야 하는 가상 키 프레임에 따라 규칙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 간격: 일정한 간격으로 가상 키프레임을 만듭니다.

오류 허용범위 덮어쓰기: 오류 허용범위 값 이 초과되면 가상 키프레임이 생성됩니다 (모션 트래커의 그래프의 2D 트래킹 에러 모드가 정상 값 범위에서 도움이 됩니다).

오류 허용범위 값 예방: 오류 허용범위 값 이 초과하기 전에 가상 키프레임이 생성됩니다. 이것은 이전 방법과 비교하여 더 정확한 방법이며 최상의 품질을 제공합니다.

멀티: 가상 키프레임 설정이 다른 여러 트랙을 선택 한경우 표시됩니다.

오류 허용범위 [-∞..+∞]

내부적으로, 이전 키(트랙 방향에 해당)와의 차이는 각 프레임에서 각 트랙에서 확인합니다. 이 차이가 여기에 정의된 허용범위 값보다 크면 가상 키프레임이 생성됩니다. 값이 작을수록 이전 프레임과 비교할 수 있는 수정이 적어지고 가상 키프레임이 더 많이 생성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프레임 간격 [-2147483648..2147483647]

가상 키프레임을 생성해야 하는 시간 간격을 정의하려면 이 설정을 사용하세요.

컬러 채널
채널.빨강 [-200..200%]
채널.녹색 [-200..200%]
채널.파랑 [-200..200%]

이 설정은 선택한 트랙의 컬러 웨이트를 변경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트래킹이 즉시 생성됩니다. 컬러 웨이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환경설정: 웨이트 빨강/녹색/파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컬러 필터 선택 메뉴에서 다음 옵션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휘도: Cinema 4D R19 버전 이전의 휘도

빨강/녹색/파랑: 이 옵션을 사용하여 특정 색상 채널을 강조합니다

빨강/녹색/파랑 확장: 이 설정은 빨강/녹색/파랑 단계를 더 진행하고 컬러 채널을 음수 값으로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흰색 배경 앞에 더 높은 콘트라스트를 만들 수 있도록 합니다(환경설정: 웨이트 빨강/녹색/파랑을 참조하세요). 마커 색상이 많이 포함된 배경 앞에 컬러 표식이 향상됩니다.

기본값: 옵션 메뉴의 값을 정의된 컬러 웨이트로 설정합니다.

기본값으로 사용: 현재 정의된 컬러를 기본 컬러 웨이트로 설정합니다(옵션 메뉴). 추가 사용자 트랙에 대해 최적화된 컬러 필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첫 번째 사용자 트랙을 만든 후에 현재 풋티지 용으로 호출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사용자 정의 값을 사용하고 개별 컬러 필터들에 해당 컬러 웨이트를 설정한 경우 사용할 수 있습니다(컬러 필터 옆에 있는 작은 화살표를 클릭하여 열 수 있습니다).

선택 적용

뷰포트에서 트랙들이 선택되면, 이 명령을 사용해서 목록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RMB마다 행해집니다: 오브젝트에 적용하기.

선택 미적용

오브젝트 트래커의 목록에서 선택된 트랙들을 제거합니다. 이 트랙들은 모션 트래커에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