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nema 4D Cinema 4D 기본 기능들 오브젝트 제네레이터 스윕 오브젝트
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 CINEMA 4D Prime, Visualize, Broadcast, Studio & BodyPaint 3D
스윕 넙스 오브젝트

기본 좌표 오브젝트 선택

좌표

순서

본 선택 메뉴는 애니메이터에서만 해당됩니다. 본 메뉴의 옵션은 공포의 "짐벌락”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예제를 보십시오:

복잡한 하이라키를 가진 애니메이션에 대한 캐릭터 설정이 보입니다. 정면 뷰에서 추측하건대 단순히 아래방향으로 회전하는 오른쪽 팔의 어깨 조인트를 애니메이션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즉, 우리는 위 방향 및 아래 방향으로 손가락 끝에 대해 키프레임을 생성합니다. 이제 애니메이션을 재생하고 상단으로부터 보면, 기대했던 아래 방향으로의 움직임 대신, 팔 또한 약간 벗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 우측 상단 참조) 이러한 예를 "짐벌락” 효과라고 합니다.

이 예제는 상대적으로 약한 것입니다; 그러나 극단적인 경우 매우 비정상적인, 코르크-스크루 타입의 움직임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적절한 회전 순서가 어떻게 이런 효과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계획한 애니메이션 작업 수행을 위해 어느 축이 최소로 회전하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애니메이션 작업에 앞서 조인트 축을 먼저 살펴보아야 합니다. 본 예제에서 이 축은 좌측에 표시된 X축입니다. 이제 X축이 2번째에 위치한 순서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거의 식별이 불가능한 "벗어남”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결과는 이전보다 훨씬 훌륭합니다.

어느 회전 순서가 올바른지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또 다른 옵션은 짐벌링 회전 옵션입니다. 이 옵션을 활성화하고 회전 툴을 활성화합니다:

시퀀스를 왼쪽은 HPB로 오른쪽은 XYZ로 설정.

회전 밴드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작업에 앞서) 직접 계획한 애니메이션이 주어진 방향으로 잘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 상단 좌측에서 회전 (빨간 화살표)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처럼 보이는 방식으로 나열된 적, 녹, 청 회전 밴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어떠한 밴드도 회전 평면에 놓여있지 않습니다). 이 애니메이션은 짐벌락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밴드 중 하나가 회전 평면 (위의 이미지: 청색) 상에 또는 회전 평면 근방에 놓여질 때까지 다양한 순서 옵션을 껐다 켰다를 반복합니다. 애니메이션 작업 시 이제 짐벌락 문제가 대부분 해결된 것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짐벌락에 관한 몇가지 추가 코멘트가 있습니다:

만약 두번째 값 (아래 표시된 범위의 중심값)을 근사로 설정할 경우 항상 문제되는 것이 있습니다. 회전 순서에 관계되는 90° (또는 270°):

해당 값을 항상 또는 또는 그 근처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최선책입니다.

전통적으로는 부모 널 오브젝트를 애니메이션하여 이 문제를 회피할 수도 있습니다.

대화상자 윈도우의 아래 부분에서 보실 수 있는 상태 고정 선택 또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월드 좌표계 시스템을 기본으로 해서 계층상의 오브젝트의 위치를 표시합니다. (좌표계 매니저 참조)

월드 좌표계 시스템을 기본으로 해서 계층상의 오브젝트의 위치를 표시합니다. (좌표계 매니저 참조)

오브젝트의 크기조정은 오브젝트 툴 모드를 사용하여 반영합니다. 예. 오브젝트의 축 시스템 또한 변형될겁니다.(오브젝트 툴과 모델 툴 사용에서의 차이점을 참고하십시오).

월드 좌표계 시스템을 기본으로 해서 계층상의 오브젝트의 회전 각도를 표시합니다. (좌표계 매니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