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 CINEMA 4D Prime, Visualize, Broadcast, Studio & BodyPaint 3D
첫 걸음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을 사용한 장면에서 라이트를 원하는대로 사용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요? 또 최고의 결과를 빠르게 얻기 위한 작업 방식은 무엇일까요?
렌더설정에서 이펙트 버튼을 클릭하여 나타난 메뉴에서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을 선택해 줍니다.
적절한 설정을 위해서 프리셋을 설정합니다. 추후에 세부적인 렌더링 테스트들은 렌더링 속도에 비례하여 적당히 수행하도록 해야만 합니다. 어떤 경우엔 테스트 렌더링을 반복해야만 하는 힘든 과정이 될 수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과정들은 이렇게 고된 작업이 되지 않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렌더링될 해상도 (보통 320x240 정도의 사이즈로도 장면의 일부 또는 밝기를 점검하는데는 충분합니다)를 낮게 설정하거나:
실시간 구역 렌더링(IRR)을 사용하여 낮은 해상도로 미리보기를 합니다.
우선 조명에 따른 분산광과 유사한 요소들의 밝기에 집중하도록 합니다. 추가적인 광원이 필요한지 이를 통해 결정합니다.
감마 값 (일반 탭)은 필요한 경우 증가될 수 있습니다.(필요하다면 컬러 맵핑 파라미터의 여기와 여기도 신경써줍니다.)
씬 내의 라이팅이 만족스러워야 GI 품질에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가능한한 GI 포탈 또는 폴리곤/에어리어 라이트를 충족시키고 있는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이런 작업은 렌더링 품질과 렌더링 시간을 단축시켜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합니다.
이제 GI 퀄리티를 증가시키 위해서는 높은 퀄리티의 프리셋을 선택하거나 개별 설정값을 조정해서 증가합니다.
에러 수정
GI 그림자가 부정확해서 원만한 렌더링이 되지 않습니까?
GI 포탈/폴리곤 라이트를 사용할 때 Force Per-Pixel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얼룩이 생깁니까?
대부분의 경우 샘플 값 (일반l 탭)을 올려주면 해결됩니다.
렌더링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립니까?
샘플, 기록 밀도 값(이래디언스 캐쉬 탭)이 너무 높지 않습니까? 아니면 다음과 같은 하나 또는 그이상의 옵션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입니다(이 옵션들은 이미지 퀄리티를 향상시킬수 있지만 렌더링이 느립니다):거리 맵을 위해 폴리곤 라이트/포탈이 사용되었습니까? 굴절 커스틱스 (옵션 탭)이 사용중입니까?
1차 방식과 2차 방식 쿼시 몬테카를로 (QMC) 모드를 사용했습니까? 2번 QMC를 사용하면 최고의 퀄리티를 만들지만 가장 느린 GI 모드입니다.
샘플 또는 레코드 밀도 값이 너무 크지 않습니까? 폴리곤 라이트/포탈에서 픽셀당 샘플을 사용했습니까? 굴절 커스틱스 설정을 확인해보세요.
아주 큰 래디오시티 맵(캐쉬 탭)을 저장해서 불러올 수 있을 것입니다.
아쉽게도 아주 느린 렌더링을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