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이즈
흔들리는 안개나 혹은 태양의 섬광등을 표현하는 데는 시간을 많이 소요되는 볼륨 쉐이더 대신에 노이즈 효과를 사용함으로써 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조명이 노이즈 효과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역시 노이즈 기능을 적용하지 않은 보통의 조명의 계산 보다는 약간 더 계산 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현실에서는 조명의 빛을 받은 면들은 실재로는 먼지나 작은 입자들 때문에 매우 불규칙한 경우가 많으므로 광원에 불규칙함을 적용함으로써 좀 더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은 빛을 받는 면이 아니라 가시 조명 자체에 불규칙한 노이즈를 추가합니다. 예를 들면 이 옵션을 사용해서 조명의 콘 부분에 보여지는 너울거리는 안개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조명과 가시 조명 모두에 굴규칙적인 노이즈를 적용합니다.
구름과 같은 효과를 내 주는 3가지의 터블런스를 포함한 4종류의 타입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노이즈는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만들어줍니다.
노이즈![]() | 소프트 터뷸런스![]() |
하드 터뷸런스![]() | 웨이브 터뷸런스![]() |
이 파라미터는 오직 터뷸런스 타입에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섬세함은 노이즈 입자의 균일함 정도를 정의합니다. 섬세함 수치가 높을수록 더 고운 노이즈가 만들어집니다.
노이즈의 불규칙하게 변하는 속도를 지정합니다.
이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노이즈의 전반적인 밝기를 올려줄 수 있습니다. 혹은 밝기를 줄여주기 위해서 밝기 값에 -값을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콘트라스트 값이 높을수록 노이즈의 콘트라스트는 높아지며, 반대로 이 값이 낮을수록 콘트라스트는 낮아집니다.
이 옵션을 사용함으로써 광원의 로컬 좌표를 고정시켜 줄 수 있습니다. 만약 광원이 움직여졌을 경우에는 그에 따라서 터뷸런스와 노이즈도 같이 움직이게 됩니다. 현실의 먼지나 분진이 움직이는 것은 조명 자체가 움직이기 때문이 아닌 바람과 같은 자연의 힘에 의해 이리저리 움직이는 것이기 때문에 보통의 경우에는 이 옵션은 사용하지 않는 편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조명 노이즈는 항상 조명의 로컬 좌표계를 따릅니다. 로컬 좌표의 체크를 해제해줌으로써 가시 노이즈를 씬 전체에 글로벌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파라미터를 통해서 씬의 월드 좌표계의 X,Y,Z축 방향으로 노이즈의 크기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만약 노이즈가 지나치게 심할 경우에는 이 수치를 줄여주면 됩니다.
이 파라미터를 통해서 조명 오브젝트의 노이즈 크기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 수치가 낮을 경우에는 노이즈는 거칠어지고 반대로 이 수치가 클 경우에는 훨씬 고운 노이즈가 만들어집니다.
여기에서는 노이즈에 사용될 바람 속성을 정의할 수 있는데, 이 옵션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애니메이션에 사실감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3개의 바람 수치는 절대 좌표계(혹은 로컬 옵션 사용되면 로컬 좌표로)에 따라 X,Y, Z축 방향으로 바람의 방향을 지정할 수 있으며 바람 속도 수치를 조정함으로써 바람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